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월곡동 학원추천
- 백준 10709
- c++ split
- C++ 문자열
- 백준 9375번 패션왕 신해빈
- 성북구 학원
- 월곡역 학원
- 고정 소수점
- 백준 패션왕 신해빈
- OS
- 관리형 학원
- 상월곡동 학원
- 백준 1049번
- 백준 K보다 큰 구간
- DFS
- 상월곡역 학원
- c++ 조합
- C++ 9996
- 백준 14246번 K보다 큰 구간
- 월곡중학교 학원추천
- 운영체제
- 백준 dfs
- 백준 14246번
- 백준 1049번 기타줄
- 백준 2309번 일곱 난쟁이
- C# 병합정렬
- 월곡중 학원
- 백준 한국이 그리울 땐 서버에 접속하지
- 백준 토마토
- 서울사대부고 학원
- Today
- Total
목록Computer Science (10)
키베이루's diar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LCuk/btsAqA7oLpC/40UpuYtg0sbKvJKCWrUYBK/img.jpg)
네트워크 : 노드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하는 디지털 전기통신망 -> 분산되어있는 컴퓨터를 통신망으로 연결한 것. 인터넷 : 세상에서 가장 큰 전세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른 분류 LAN (Local Area Network) : 가까운 거리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 MAN (Metropolitan Network) :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큰 학교나 건물등) WAN (Wide Area Network) : 광대역 네트워크 (두개 이상의 LAN 영역을 연결한 영역) 네트워크 연결형태에 따른 분류 Star형 : 중앙 장비에 모든 노드 연결 장점 : 수리, 변경 용이 단점 : 중앙제어장치 고장시 전체 통신불능 Mesh형 : 여러노드들이 그물처럼 연결 장점 : 오류 및 문제 해결 쉬움 ..
컴퓨터의 기본 구성 CPU, 메인메모리, 입출력장치, 저장장치로 구성 -> 각 구성요소가 버스로 연결된 구조를 폰 노이만 구조라고 한다. CPU = 요리사 : - 프로세스 관리 = 요리방법 결정 - 메모리 관리 = 도마 정리 - 저장장치 관리 = 보관 창고 정리 메모리 = 도마 : 핵심적인 작업공간, 메모리(도마)의 크기가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저장장치 = 보관 창고 시스템 버스(FSB) : 메모리와 주변장치를 연결하는 버스 -> 메인보드의 동작속도를 의미한다 CPU 와 Memory CPU - 산술논리 연산자(ALU), 제어장치(Control Unit), 레지스터(Register) - ALU : CPU에서 데이터를 연산하는 장치 - Control Unit : CPU에서 작업을 지시하는 부분 - Regi..
컴퓨터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로 구성 소프트웨어 : 응용프로그램,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구성 - 응용프로그램 : 특정 작업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 - 시스템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 관리 -> 운영체제, 유틸리티 운영체제 : 컴퓨터 전체를 관리,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 응용프로그램은 운영체제의 허락을 받아야 하드웨어 사용가능 -> 응용 프로그램과 사용자에게 모든 컴퓨터 자원을 숨긴다 -> 컴퓨터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 커널 : 운영체제의 핵심기능 (엔진) - 인터페이스 : 결과전달 (계기판, 브레이크, etc..) 운영체제의 역할 - 자원관리 = 효율성 : 적은자원사용 효율적작업, 코드최적화 - 자원보호 = 안정성 : 보안문제처리, 결함 포용 기능수행 - 하드웨어 인터페..
GC는 Java나 C#에서 메모리를 자동으로 해제해주는 기능이다. C/C++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힙영역에 대한 메모리 해제 때문에 Memory leak가 쉽게 일어난다. -> 메모리 조각 발생 C/C++에서는 C-runtime을 사용하여 힙에 객체를 할당하여 자유 메모리 블록을 찾고 쪼개고 재조정하는 탐색, 분할의 과정을 거치는데 C#에서는 Garbage Collector가 사용하지 않는 객체를 알아서 판단하여 메모리를 회수한다. .Net 프레임워크에서 참조 형식의 객체가 할당될 때는 Stack 영역에는 Heap의 메모리 주소(Object를 가리키는 참조값)를, Heap 영역에 실제 값(Object 값)이 할당된다. 그리고 객체가 할당된 코드블록이 끝나면 Stack 영역의 메모리가 회수되고 Heap 영역..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EwZy/btrUaWpmGVs/uU7kEiKcVQlgeiguvE99u1/img.png)
컴퓨터 하드웨어 : 프로세서,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프로세서 -CPU, GPU 메모리 - 주 기억장치(RAM), 보조 기억장치(DISK, HDD 등) 주변장치 - 키보드/마우스, 모니터/프린터, 네트워크 모뎀 등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 Central Processor) { CPU = 프로세서 } - 연산 수행 - 컴퓨터의 모든 장치의 동작 제어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 - Control Unit - Register : 프로세서 내부에 있는 메모리 ( 프로세서가 사용할 데이터 저장, 컴퓨터에서 가장 빠른 메모리) # 용도에 따른 분류 : 전용 레지스터, 범용 레지스터 # 사용자가 정보 변경 가능 여부에 따른 분류 : 사용자 가시 레지스터, 사용자 불가시 레지스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e2VH/btrT6YHV48F/MaIoImq3kTYbkp1rZhkjp0/img.png)
실수를 2진법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고정 소수점 방식(Fixed point), 부동 소수점 방식(Floating point)이 존재한다. 고정 소수점 방식(Fixed Point) 실수를 정수부와 소수부로 나누어 사용한다. 소수부의 자릿수를 미리 정하여 고정된 자릿수의 소수를 표현하는 것 고정 소수점의 방식은 정수 부분(15bit)과 소수 부분(16bit)에 사용할 비트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수 부분에서 큰 실수를 표현하기가 어렵고 소수 부분에서도 정밀한 값을 표현할 수 가 없다. 부동 소수점 방식(Floating Point) IEEE 754 표준으로 소수점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가수부와 지수부로 나누어 표현하는데 이를 ±(1.가수부)×2^지수부-127 로 표현한다. sign(1..
STL은 Standard Template Library로 표준 템플릿 라이브러리의 약자이다. 표준 C++ 라이브러리로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Template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이다. STL은 컨테이너(Container), 반복자(Iterator), 알고리즘(Algorithm)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Container 자료를 저장하는 클래스 템플릿들의 집합 - pair : 간단한 연관 컨테이너로 순서에 따라 first, second 로 불리는 객체로 구성되어 배치, 복사, 비교 가능하다. pair p; p.first = 1; p.second = 2.5; cou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w9qa/btrT1FPY976/LtkcUAYlYJiRoZEv4LRke0/img.png)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컴퓨터 하드웨어 바로 위에 설치되어 사용자 및 다른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계층 즉, 중개자 역할을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운영체제는 성능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편의성 편의성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관리 프로그램 운영체제의 역할 1. User Interface(편리성) : CUI(Character User Interface), GUI(Graphical User Interface), EUCI(End-User Comfortable Interface) 2. Resource M..